항공 용어 정리 (1) : ATC와 ATM

항공교통과 관련된 공부를 하는 입장에 있어, 여러 전문 용어가 영어의 약어로 정의되어 있기에 순차적으로 관련글을 작성해보고자 한다.

이번 포스트에서는 항공 교통 분야에서 주로 쓰이는 ATC와 ATM의 정의와 차이 및 기타 관련 용어에 대해 정리한다.

유럽항공안전청(EASA : European union Aviation Safety Agency)은 REGULATION (EC) No 549/2004 OF THE EUROPEAN PARLIAMENT AND OF THE COUNCIL 문서에 기반하여 FAQ에서 ATC와 ATM의 차이에 대해 이하와 같이 용어를 정의, 답변하였다.

  • Air Traffic Control (ATC)
    (1) 항공기 사이 및 기동 지역(Manoeuvring area)내에서의 항공기와 장애물 간의 충돌 방지
    (2) 항공 교통의 순차적 흐름의 진척 및 유지
    와 같은 목적에 의해 제공되는 서비스
  • Air Traffic Management (ATM)
    모든 운항 단계에서 항공기의 안전하고 효율적인 기동을 위해 요구되어지는 공중 및 지상 기반의 기능[항공 교통 서비스, 공역 관리(ASM) 및 항공 교통 흐름 관리(ATFM)]의 집합

항공 교통 서비스는 다양한 항공 정보 서비스, 경보 서비스, 항공 교통 자문 서비스 및 ATC 서비스를 의미한다.
ATC 서비스는 이하 세 항목의 서비스를 포함하는데,
지역 제어 서비스(area control service)는 공역의 한 블록에서 제어 비행을 위한 ATC 서비스,
접근 제어 서비스(approach control service)는 이착륙 중인 제어 비행을 위한 ATC 서비스,
비행장 제어 서비스(aerodrome control service)는 비행장 내 교통을 위한 ATC 서비스이다.

항공 교통 관리(ATM) 센터의 주 업무내용은 세가지로 다음과 같다.

  • 항공 교통 흐름 관리 (ATFM : Air Traffic Flow Management)

항공 교통 흐름 관리는 ATC 용량이 가능한 최대로 활용되어, 항공교통량과 인증된 항공 교통 서비스 제공 업체에 의해 정의된 용량이 양립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안전하고 질서있으며 신속한 항공 교통의 흐름에 기여하도록 설립된 기능이다.
복잡한 항공교통량과 악천후가 예상되는 공역을 예측하여 항공기가 적절한 항공로를 따라 운항할 수 있도록 항공 관제를 하는 것을 포함한다.

  • 공역관리 (ASM : Air Space Management)

하늘에는 여객기, 경비행기, 헬리콥터 등 다양한 비행체가 존재하는데, 이들은 공항, 항공로의 분할 스케쥴을 통해 운행되고 있다. 하늘을 최대한 효율적으로 활용하기 위한 항공로의 설정, 공역으로의 지역항법(RNAV : Area Navigation) 경로 등의 설정 등을 통해 차질 없이 항공 관제를 할 수 있도록 공역관리가 진행되고 있다.

  • 해상관리 (Oceanic ATM : Oceanic Air Traffic Management)

넓은 해상에서도 또한 안전하게 비행할 수 있도록 항공 관제를 진행하는데, ICAO(국제 민간 항공 기관)를 통해 항공 관제의 책임분담을 각국이 가지고, FIR(Flight Information Region : 비행정보구) 를 접하는 공해를 포함하여 해상의 항공 관제를 행하고 있다.

참고 관련 링크 및 서적
[1] https://eur-lex.europa.eu/LexUriServ/LexUriServ.do?uri=CONSLEG:2004R0549:20091204:EN:PDF
[2] https://www.easa.europa.eu/faq/45953
[3] カラー図解でわかる航空管制「超」入門